Media Coverage

[브릿지경제, 2021. 3. 31] 반도체 부족은 구조적 문제…전문가들 “시장 재편 대비해야”

작성자
유지원
작성일
2021-05-15
조회
959
 


반도체 부족은 구조적 문제…전문가들 “시장 재편 대비해야”


김상우 기자 


최종 기사입력 2021-03-31 17:02


원문보기 : http://www.viva100.com/main/view.php?key=20210331010009033


 


글로벌 반도체 품귀 현상의 여파가 심상치 않다. 발생 초기만 해도 미국 텍사스주 한파에 따른 반도체 공장 셧다운과 일본 르네사스 공장 화재로 인한 일시적인 현상으로 봤으나, 현재는 예상 밖의 장기화를 대비해야 하는 상황에 몰렸다.


실제 현장에서는 터질 게 터졌다는 분위기다. 코로나19 글로벌 확산으로 인한 경기 위축에 따라 부품 발주를 급격히 줄인 잘못된 수요 예측부터, 구 공정의 중소 파운드리의 부족, 특정 용도에만 사용하는 전용 반도체 칩셋의 저마진까지 한데 모인 구조적인 문제로 보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번 글로벌 반도체 수급난이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부족이 핵심이라는 시각이다. 10나노 이하의 초미세공정의 경우 TSMC나 삼성전자 등의 대형 파운드리가 빠르게 생산 능력을 늘리고 있지만, 전용 반도체 칩셋을 주로 생산하는 구 공정의 중소 파운드리는 설비 확충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마켓워치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최소 연말까지는 반도체 공급 부족이 이어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연내 주요 파운드리 업체의 생산 능력 확대에 따라 수급 상황이 나아질 수 있지만, 단기간 개선은 불가능하다는 분석이다.



마리벨 로페즈 마켓워치 수석 애널리스트는 “글로벌 반도체 공급량은 코로나19로 인한 반도체 수요 급증에다 주요 기업들이 차량용 반도체 생산 수요를 과소평가한 것, 10나노 이하 미세공정 전환 과정이 수율을 떨어뜨려 기대 이하의 생산량을 기록하게 된 것이 수급난을 가중시킨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그동안 글로벌 반도체 산업은 미국을 중심으로 이뤄진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업체)에 삼성전자, 대만 TSMC와 UMC 등의 파운드리로 이뤄지는 생태계를 형성했다. 그러나 이제는 파운드리 부족이 여실해지자, 세계 각국마다 파운드리를 직접 키우겠다는 계산이 선 것이다.



특히 인텔이 파운드리에 진출한 것은 시장에 큰 충격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생태계 재편의 신호탄이라는 인식이다. 인텔은 지난달 23일 애리조나주 오코틸로에 200억 달러(약 22조원)를 들여 2개 공장을 건설하겠다고 밝혔다.



미국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사격도 인텔의 파운드리 진출을 움직였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반도체 생산기지의 아시아 편중 문제를 거론하며, 공급망의 확대와 재편을 담은 행정명령에도 서명했다. 여기에 미국 상원까지 250억 달러(약 28조원) 규모의 반도체 설비 확충에 지원하는 법안을 최근 발의해 반도체 인프라 육성에 발 벗고 나섰다.


 


국내 반도체 산업도 이러한 실정에 국가적 차원의 지원사격이 절실해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김주영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는 “파운드리가 삼성전자와 TSMC 등 일부분에 한정되는 구조적 문제에 인텔이 시장 진출을 선언하는 등, 미국이 나서면서 기존 판이 흔들릴 가능성이 높아졌다”면서 “미국과 중국은 핵심 산업에 대한 필요가 있다면 국가적 지원에 적극 나서지만, 국내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이분법 등으로 인해 지원이 미비한 편”이라고 말했다.


박상인 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는 “정부가 국내 팹리스 중소기업의 역할 확대부터 기술적 역량을 최대로 이끌어낼 수 있는 지원과 방안을 마련한다면, 지금보다 반도체 산업 경쟁력이 크게 올라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이번 반도체 품귀 현상으로 시스템반도체의 가치가 더욱 올라갈 수 있다는 점에 대비해야 한다는 조언도 나온다. 시스템반도체가 모빌리티, 인공지능(AI) 등 광범위한 영역으로 사용을 확대하는 등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역할을 할 것이라는 견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사실 파운드리를 제외하고 팹리스 등 종합 반도체 측면에서 한국 기업들의 체력은 좋다고 보기 힘들다”면서 “정부와 기업이 따로 가지 않고 산업 경쟁력이라는 한 곳의 목표를 바라봐야 하는 중요한 시기”라고 강조했다.



김상우·한장희 기자 ksw@viva100.com